왓챠 14년 만에 기업회생절차 돌입 - 신용등급과 재무 현황 분석
2025년 8월 4일, 국내 토종 OTT 서비스 왓챠(WATCHA)가 결국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했습니다. 2011년 설립 이후 14년 만의 결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회생절차 개시 직전 왓챠의 신용등급 추이와 주요 재무 정보를 정리합니다.
왓챠 회생절차 개시
왓챠 기업 개요
왓챠는 2012년 영화 평가·추천 서비스로 출발하여, 2016년에는 영화·드라마 OTT 플랫폼을 출시했습니다.
2023년 12월 결산 기준 박태훈 대표가 14.56%의 지분을 보유하며, SGI신성장메짜닌펀드(2.82%)와 다수 개인 주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왓챠 회생절차 개시 배경
왓챠는 채권자 신청에 따라 법원의 회생절차 개시 결정을 받았습니다. 회사 측은 서비스는 정상 운영될 것이라고 밝혔지만, 최근 수년간의 재무 악화와 누적 영업손실이 회생신청의 직접적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왓챠의 신용등급
주요 신용평가기관의 등급 비교 (2025년)
구분 | 나이스평가정보 | 나이스디앤비 | 한국평가데이터 |
|---|---|---|---|
왓챠 기업평가등급 | C+ | C3 | CCC- |
평가일 | 2025-06-19 | 2025-07-31 | 2025-07-25 |
3사 중 NICE평가정보가 가장 보수적으로 왓챠의 등급을 C+로 평가하며, 신용위험 가능성을 예측했습니다.
NICE평가정보 등급 추이
왓챠는 2023년 CCC- 기업평가등급을 받았으나, 최근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현재 C+까지 떨어졌습니다.
등급 | 평가일자 | 재무 기준 일자 | 등급구분 |
|---|---|---|---|
C+ | 2025.06.19 | 2024.12.31 | 모형등급 |
CC+ | 2024.05.11 | 2023.12.31 | 모형등급 |
CCC- | 2023.04.20 | 2022.12.31 | 모형등급 |
CCC- | 2023.03.07 | 2021.12.31 | 모형등급 |
C등급, 어느정도 위험할까?
2024년말 기준 NICE평가정보의 통계에 따르면, CCC 이하 등급 보유 기업은 전체의 0.67%에 불과합니다.
또한, CC등급 기업의 58.99%가 1년 내 부도에 이르며, CCC등급 기업도 7.89%의 부도율을 기록했습니다.
왓챠의 Watch 등급이 ‘주의’인 이유
왓챠는 2021년부터 Watch등급 '주의'를 유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사유로 Watch등급이 '주의'로 산정되었습니다.
(재무) 완전 자본잠식,최근 3년 연속 당기순이익 적자,수익성,재무 안정성,재무 성장성
(감사보고서 관련) 최근 감사의견 부적정 또는 의견거절, 감사/사업보고서키워드
현재는 회생절차 개시신청으로 인해 Watch등급이 '회수의문'으로 하락하였습니다. 나이스평가정보의 신용평가등급 및 Watch등급의 의미가 더 궁금하다면 등급 안내글을 확인해보세요.
왓챠의 주요 재무 정보
매출액: 338.4억 원 (전년 대비 21.4% 감소)
영업이익: -18.5억 원 (적자폭은 일부 개선)
매출 감소와 함께 장기간 적자가 지속되며 재무 구조 악화가 심화된 상황입니다.
기업 신용위험 관리의 중요성
왓챠 사례는 신용등급 모니터링을 통해 거래처의 부실을 방지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NICE평가정보의 나이스비즈인포와 나이스비즈라인 서비스를 활용하면 기업 신용 변동 시 카톡·메일 알림을 받을 수 있어, 거래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습니다.
✅기업신용정보를 보고서 형태로 건별 구매하고 싶다면?
(요약보고서: 7,000원, 상세보고서:14,000원, 기업신용 알리미:20,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