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정의와 지원 기준 총정리

중소기업, 소상공인, 중기업의 정확한 기준은 무엇일까요? 「중소기업기본법」과 「소상공인기본법」에 따른 판정기준부터 정부 지원제도까지, 2025년 최신 정보와 통계로 쉽게 정리했습니다.
NICE평가정보's avatar
Aug 13, 2025
중소기업의 정의와 지원 기준 총정리

🌟 왜 지금 ‘중소기업 기준’을 알아야 할까요?

한국의 기업 생태계에서 중소기업은 전체 사업체의 99% 이상, 종사자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축입니다.

기업 규모는 단순한 크기의 차이가 아니라 세금 감면, 정부 정책자금 지원, 공공 입찰 자격 등에 직결되는 중요한 판단 기준입니다!

특히, 창업 초기 스타트업이나 성장기에 접어든 기업이라면 중소기업·소기업·중기업 구분을 명확히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하기에 법적 정의, 세부 구분, 통계, 정부 지원 제도를 종합적으로 전달하여 실무자가 바로 참고할 수 있는 정보들을 알아보겠습니다.


📌 중소기업의 법적 정의와 판단 기준

중소기업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와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제3조」에 근거하여 법적으로 규정됩니다.
이 정의는 단순히 ‘작은 기업’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매출·자산·지배구조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하는 엄격한 기준입니다.

  1. 공시대상기업집단에 속하지 않을 것

    • 대기업 집단(자산총액 5조 원 이상) 산하 기업은 제외됩니다.

  2. 최근 3개 사업연도 평균 매출액이 업종별 기준 이하일 것

    • 업종별 기준: 400억~1,500억 원 (제조업·건설업·도소매업 등 업종별 차이 존재)

    • 예) 제조업은 1,500억 원 이하, 도소매업은 500억 원 이하

  3. 자산총액이 5,000억 원 미만일 것

    • 재무제표상의 총자산 기준

  4. 관계기업 합산 매출액도 업종별 기준 이하일 것

    • 계열사, 관계사 포함

  5. 자산총액 5,000억 원 이상인 기업이 최다출자자가 아닐 것

    • 대기업 지배력에서 독립적이어야 함

다음 네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영리기업’으로서 중소기업으로 인정됩니다.

💡 TIP: 비영리기업(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등)은 ①,②,④ 조건만 충족하면 중소기업 범주에 포함됩니다.


🏢 중소기업의 세부 구분

중소기업은 규모에 따라 소기업중기업으로 다시 나뉩니다.

(1) 소기업

중소기업 중에서도 상시근로자 수가 업종별 기준 이하인 기업을 소기업이라 합니다.
「소상공인기본법 제2조」에 규정된 소상공인 기준을 동시에 충족할 경우, 정책 지원 범위가 확대됩니다.

  • 제조·광업·건설·운수업: 10명 미만

  • 그 외 업종: 5명 미만

  • 상시근로자 산정 시 임원, 단시간 근로자(주 15시간 미만), 3개월 미만 단기근로자는 제외

예시

  • 직원 8명의 기계부품 제조사 → 제조업 기준 10명 미만이므로 소기업

  • 직원 6명의 카페 운영업체 → 서비스업 기준 5명 이상이므로 소기업 기준 초과 → 중기업


(2) 중기업

소기업보다 매출·고용 규모가 크지만, 대기업 기준에는 미달하는 기업을 의미합니다.

  • 예) 자산총액 4,000억 원, 상시근로자 200명, 매출액 1,000억 원인 제조업체 → 중기업


👥 소상공인의 정의와 유예 제도

소상공인은 소기업 중 상시근로자 수가 업종별 기준 이하인 경우를 말합니다.
소상공인으로 인정되면 정책자금 금리 우대, 창업 지원사업 가점, 세제 감면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규모가 커져 소상공인 기준에서 벗어나더라도 최대 3년간 유예기간 부여

  • 단, 소기업 외 기업과 합병 시 등 일부 사유에서는 유예 적용 제외


🗂️ 중소기업 현황과 통계

정부는 개별 기업 명단을 공개하지 않지만, 국가승인통계를 통해 중소기업의 규모와 종사자 현황을 제공합니다.
(출처: 중소기업 현황 통계 – 중소벤처기업부)

  • 2023년 기준

    • 중소기업 수: 740,865개사

    • 종사자 수: 1,540만 명 (전체 사업체 종사자의 약 83%)

    • 평균 종사자 수: 20.8명

    • 제조업 비중: 약 17%, 서비스업 비중: 약 68%

이 수치는 중소기업이 한국 경제의 고용 안정과 산업 다변화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보여줍니다.


💡 중소기업이 받을 수 있는 주요 정부 지원

1. 정책자금 지원


2. 세제 혜택


3. 연구개발(R&D) 지원사업


📋 중소기업 자가 체크리스트

구분

매출액 기준

자산 기준

근로자 수

비고

소상공인

업종별 기준 이하

5,000억 미만

5명 또는 10명 미만

유예 3년

소기업

업종별 기준 이하

5,000억 미만

소상공인 초과

-

중기업

업종별 기준 이하

5,000억 미만

소기업 초과

-


📢 마무리

중소기업 여부는 단순한 행정상의 분류를 넘어 세제 혜택, 정책자금 지원, 공공 입찰 기회 등 경영 활동의 전략적 요소와 직결됩니다.
따라서 우리 회사가 정확히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 판단하고, 해당 범주에 맞춘 경영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수입니다.

🚀 지금 바로 아래 버튼을 통해 중소기업 정보를 무료로 확인해보세요!

Share article

NICE평가정보 블로그 | NICE INFORMATION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