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공시대상기업집단, 주채무계열 확인하기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공시대상기업집단, 주채무계열 리스트와 기업지배구조 등 그룹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NICE BizLINE으로 확인해보세요!
NICE평가정보's avatar
Aug 01, 2025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공시대상기업집단, 주채무계열 확인하기

✅ 그룹정보(Group Information)란?​

기업 단일 법인만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지배구조, 자금흐름, 리스크 연계성 등을
확인하려면 해당 기업이 속한 그룹 단위 정보를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주요 그룹정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 그룹정보 구분 및 법적 정의

구분

정의

법적 근거

①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공시대상기업집단 중 명목 GDP의 0.5% 초과 자산을 보유한 그룹

공정거래법 제31조, 시행령 제38조

② 공시대상기업집단

자산총액이 5조 원 이상인 기업집단

공정거래법 제31조, 시행령 제38조

③ 주채무계열

전년도 말 기준, 총차입금이 명목 GDP의 0.1% 초과전 은행 신용공여잔액의 0.075% 초과

은행업 감독규정 제79조


✅ 왜 그룹정보가 중요할까요?

기업을 평가할 때 단일 법인만으로는 부족합니다.
그 기업이 어떤 그룹에 속해 있는지, 어떤 지배구조 하에 있는지에 따라
신용도, 자금 흐름, 리스크, 경영 안정성까지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특히 금융기관의 여신 심사, 공공 입찰, B2B 협력 거래, M&A 검토 시에는
그룹 소속 정보와 계열사 현황이 주요 판단 기준이 됩니다.​
 

그룹 개요 정보

🧭 그룹 판단 기준은?

최대주주 및 지분율
- 지분 50% 초과: 사실상 지배 판단
- 지분 50% 이하: 연결 기준에 따라 판단
- 사업보고서, 감사보고서, 계열회사 현황자료
→ 최대주주, 임원 겸직, 실질적 지배 여부를 종합 고려

  • ​해외법인 소재 시: 그룹 포함 대상에서 제외
    감사보고서 부재 시: 그룹 판단이 제외될 수 있습니다.​

📌 매년 1월, 기획재정부·공공기관에서 고시한 보도자료 기반 리스트도 일부 그룹 분류에 활용되며, 이는 공정거래법상 공시 및 정보제공의무와도 연계됩니다.
 

🧩 이 모든 그룹 정보, 나이스비즈라인에서는?​

NICE BizLINE에서는 다음과 같은 그룹 정보를 통합 제공합니다.

정보 항목

제공 내용

그룹명

속한 그룹(지주회사 등) 명칭

그룹 구분

상호출자제한 / 공시대상 / 일반 / 기타그룹

주채무계열 여부

금융권 지정 여부 확인

계열사 현황

현재 등록된 계열사 리스트

정보 출처

사업보고서, 감사보고서 등 기반

외부 공시 여부

공정위/기재부 등 지정 이력

💡 그룹정보 어디에 활용될까요?​

  • 금융기관: 여신심사 시 그룹리스크 분석

  • 협력사 발굴: 계열사 간 납품/영업 전략 구상

  • 전략/기획: 대기업 중심 산업구조 분석

  • 공공/입찰기관: 지정기업 여부에 따른 자격요건 확인

단일 기업 정보에 머무르지 않고, 그 기업이 어디에 속해 있는지,

어떤 구조로 연결돼 있는지까지 확인할 수 있어야 진짜 리스크를 예측하고 기회를 선점할 수 있습니다.

✔️ 그룹 정보 + 재무 + 신용 + 산업 + 공시까지

✔️ 신속하고 정확한 기업분석 환경을 제공하는 NICE BizLINE을 만나보세요.

🔍기업에 정보를 무료로 체험해보고 싶다면 아래 버튼을 통해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Share article

NICE평가정보 블로그 | NICE INFORMATION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