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평가는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중소기업 경영에 꼭 필요한 기업신용평가! 『알기 쉬운 기업신용평가 가이드』 시리즈를 통해 기업신용평가 방법, 평가 항목, 등급 관리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팁을 단계별로 만나보세요!
NICE평가정보's avatar
Sep 29, 2025
신용평가는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나이스평가정보는 중소기업 경영진과 종사자 여러분께 실질적인 도움을 드리고자 『중소기업을 위한 알기 쉬운 기업신용평가 가이드』 시리즈를 시작합니다.


이 시리즈에서는 기업신용평가의 방법, 주요 평가 항목, 등급 관리 전략까지 단계별로 쉽게 풀어 알려드릴 예정입니다.

​ 💸 신용평가의 시작

1. 신용평가제도란?

신용평가제도는 단순한 숫자나 등급이 아니라, 기업의 신뢰도와 부도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2. 신용평가는 언제 시작됐을까?

신용평가의 역사는 19세기 미국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산업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필요성이 커졌고, 그 과정에서 최초의 신용평가사가 등장했습니다.

  • 📊 S&P(Standard & Poor’s)

    • 1860년, 미국의 헨리 바넘 푸어(Henry Varnum Poor)가 설립

    • 철도회사의 경영 및 재무 상태를 분석한 책을 출판하며 사업 시작

    • 이후 일반 기업의 재무정보를 출판하던 Standard Statistics Bureau와 합병 → 신용평가 사업으로 확장 → 오늘날의 S&P로 성장

  • 📊 Moody’s

    • 1900년, 존 무디(John Moody)가 설립

    • 철도회사가 발행한 채권에 대한 신용등급 발표로 시작

    • 1929년 세계 대공황 시기, 무디스가 투자적격등급으로 평가한 기업들만 위기를 넘기면서 시장에서 압도적 신뢰를 확보

    • 이후 세계적인 국가신용등급 평가기관으로 성장

💡 정리하자면
신용평가는 철도산업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기업의 부도 가능성과 채권 상환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제도로 자리 잡았습니다.

🏦 국내 신용평가사업의 도입

우리나라의 신용평가사업은 1985년 9월, 기업어음 발행 적격업체 선정기준 제정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이는 무분별한 채권 발행으로 인한 투자자 피해를 막기 위해, B등급 이상의 신용등급을 받은 기업만 기업어음을 발행할 수 있도록 제한한 제도였습니다.

이후 1986년에는 일반사채와 전환사채 발행 적격기준을 평가하기 위한 제도가 도입되면서 신용평가의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적격업체 선정기준

투자자 보호를 위해 B등급 이상의 신용등급을 받은 기업만 기업어음을 발행할 수 있도록 한 제도

1. 신용평가 3사 체제의 형성

  • 1985년 2월: 한국신용평가 설립

  • 1986년 9월: 전국신용평가(현 NICE신용평가) 설립

  • 1987년 11월: 한국기업평가 출범

이로써 국내에는 3대 신용평가사가 활동하는 체제가 마련되었고, 자본시장에서 신용평가의 역할이 본격적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2. 제도 확대와 성장

1999년부터는 은행채, 특수채, 자산유동화증권(ABS: Asset Backed Securities)에 대한 신용평가가 의무화되었습니다.
특히 외환위기 이후 무보증 회사채 발행이 증가하면서, 신용평가사업은 빠르게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자산유동화증권(ABS)

기업이나 은행이 보유한 부동산, 매출채권, 유가증권 등 유·무형의 자산을 기초로 발행한 증권

3. NICE그룹의 평가 구조

NICE그룹은 평가 업무를 분리하여 전문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NICE평가정보: 개인 및 기업 신용평가 담당

  • NICE신용평가: 회사채 평가 담당

즉, 기업·개인 단위 신용평가와 회사채 신용평가를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합니다.

NICE평가정보 로

NICE신용평가 로고

개인 및 기업 신용평가 업무

회사채 평가업무

4. 개인 신용평가의 도입

개인에 대한 신용평가는 비교적 최근에 국내에 도입되었습니다.
2002년, NICE평가정보에서 국내 최초로 개인신용평점을 개발하여 금융회사를 중심으로 개인신용평점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지금은 금융회사 뿐만 아니라 신용이 필요한 대부분의 업종에서 개인신용평점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 신용정보법 개정과 평가업무 세분화

우리나라에서 기업이 신용평가업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신용정보법’)』에 따른 금융위원회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과거에는 개인·기업 신용평가를 모두 ‘신용조회업’으로 통합했지만, 2020년 2월 신용정보법 개정 이후 업무 범위가 세분화되어 개인신용평가, 전문개인신용평가, 개인사업자신용평가, 기업정보조회, 기술신용평가, 기업신용등급제공 등으로 나뉘었습니다.

신용평가업무의 종류

구 분

내 용

개인신용평가

개인의 신용상태를 평가

전문개인신용평가

비금융정보만을 이용하여 개인의 신용상태를 평가

개인사업자신용평가

개인사업자의 신용상태를 평가

기업정보조회

기업신용정보를 통합·분석·가공하여 제공

기술신용평가

기업의 신용상태 및 기술에 관한 가치를 평가

기업신용등급제공

기업의 신용상태를 평가한 기업신용등급 제공

국내 주요 신용정보업자

현재 국내에서 활동하는 주요 신용정보업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NICE평가정보

  • NICE디앤비

  • SCI평가정보

  • 이크레더블

  • 코리아크레딧뷰로

신용평가사 타임라인

​ 📌 마무리

오늘은 본격적인 내용에 들어가기 앞서, 신용평가의 역사와 국내 신용평가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주에는 기업신용평가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어떤 항목이 평가에 반영되는지, 그리고 신용등급을 잘 관리하기 위한 준비 방법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 매주 연재될 예정인 『중소기업을 위한 알기 쉬운 기업신용평가 가이드』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Share article

NICE평가정보 블로그 | NICE INFORMATION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