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항공 운송 산업, 구조적 변화와 성장동력

항공 여객 및 화물 시장 심층 분석, LCC 경쟁 구도 변화 등 2025년 주요 이슈를 통한 항공 운송 산업의 핵심 동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ICE평가정보's avatar
Oct 22, 2025
2025년 항공 운송 산업, 구조적 변화와 성장동력

2025년 항공운송산업, 구조적 변화와 성장 동력

1. 산업의 주요 특성: 고정비, 리스크, 그리고 과점적 시장 환경

항공운송산업은 단순한 여객 및 화물 운송을 넘어, 고도의 자본력과 외부 환경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구조적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항공운송업은 ‘항공기에 의하여 정기 또는 부정기로 여객 및 화물을 운송하는 산업’으로 정의되며, 초기 긴급 운송 수단에서 체계화된 물류 시스템을 갖춘 상업 운송 수단으로 부상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구조적 특성이 기업 경영과 투자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1) 자본집약적 산업 구조 및 금융 리스크

항공산업은 항공기 확보를 위해 대단위 자본의 선투자가 필수적인 자본 집약적 산업입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은 항공기 투자에 따른 막대한 고정비 및 리스크 부담을 안고 있으며 , 항공기 금융, 리스 등 타인자본을 활발하게 활용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시장 호/불황에 따른 항공기 가격 변동 및 금융 조건은 기업의 영업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2) 과점적 시장 성격과 진입 장벽

항공운송업은 공항 건설 및 항공기 구입에 거대 자본이 투하되어 진입장벽이 높기 때문에, 통상 1국에 1~2개 기업만 허가되는 독점 및 과점적인 시장 성격을 지닙니다. 국제 노선 역시 국가 간의 상호 항공협정(쌍무협정, IATA, ICAO 협정 등)에 의해 항로가 개설되므로 실질적인 과점 상태에 있습니다.

(3) 높은 경기 및 비용 민감도

  • 경기 민감도: 항공 산업은 국가 간 무역화물 및 여객 수송을 본질로 하기에 전 세계적인 경기 변동과 수급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또한, 육상·해상 운송 대비 운임이 고가여서 국내외 경제 환경 변화에 수요가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 유가 변동 민감도: 항공기 원가 구성 요소 중 유류비용의 비중이 높아 국제 유가 변동에 대단히 민감한 업종입니다. 유가 변동은 전 세계적인 운임 동향과 맞물려 항공사의 수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 전후방 산업 영향: 항공운송업은 항공우주, 기계, 전자, 건설, 보험, 금융 등 전후방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며, 경제 안보에도 긴요하여 각국은 최소한 1개 항공사 이상을 육성하려는 정책적 노력을 기울입니다.

2. 2025년 상반기 시장 동향: 여객 및 화물 시장 심층 분석

2025년 상반기 항공운송 시장은 국제선 여객 및 화물 부문에서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하거나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견조한 성장세를 기록했습니다.

(1) 여객 수송 실적: 국제선이 시장 회복을 주도

2024년 항공 여객 수송 실적은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대비 97.3% 수준까지 회복되며 시장이 사실상 정상화되었으며, 2025년에도 국제선 중심의 견조한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구분

주요 데이터 (2025년 상반기 기준)

출처

국제선

여객

2023년 대비 30.2% 증가하여 2019년 대비 98.4% 수준까지 상승

한국항공협회

내국인

출국자

전년 동기 대비 약 48.8% 증가1,101만 명 기록

한국관광공사

외국인

입국자

전년 동기 대비 114.7% 증가한 약 895만 명 기록, 2019년 대비 약 90% 수준 회복

한국관광공사

주요 노선 수요

일본 노선은 엔저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3% 급증478만 명으로 최고 비중 유지

한국관광공사

국내선

여객

내국인 해외여행 선호로 인해 2023년 대비 약 3.3% 감소

한국항공협회

  • 국제선 폭발적 성장: 국제선 여객은 항공사 운항 편수 확대와 해외여행 수요에 힘입어 2023년 대비 30.2% 증가하여 2019년의 98.4% 수준까지 빠르게 상승했습니다. 특히, 국내 주요 항공사의 국제선 여객은 분기별로 10% 이상 증가하며 시장 회복을 주도했습니다.

  • 지역별 여객 수요 견인: 엔저 현상이 지속되면서 일본 노선이 전년 동기 대비 54.3% 급증하며 전체 내국인 출국자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출처: 한국관광공사, 2025년 상반기 기준)

    홍콩(61.5% 증가), 마카오(57.3% 증가) 등 동북아시아 지역의 증가세도 두드러졌습니다.

  • 국내선 수요 정체: 반면, 국내선 여객 수요는 내국인의 해외여행 선호 심화로 인해 전년 대비 3.3% 감소하는 등 정체 양상을 보였습니다. 다만, 지방 공항 활성화 노력과 내륙 노선 부진 완화로 감소 폭은 둔화되는 추세입니다.

(2) 항공 화물 수송 실적: 이커머스發 역대 최고치 경신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2025년 항공 화물운송 실적은 국제선 물동량의 큰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11% 이상 증가하며 견고한 성장세를 기록했습니다.

  • 국제선 화물 증가 동력: 국제선 화물 수송량은 전년 대비 11.2% 증가했으며 , 주된 동력은 미국·유럽 전자상거래 활성화, 글로벌 해상 운송 차질, 그리고 IT제품 수요 확대에 따른 순화물 물동량 증가입니다.

  • 물류 혁신과 이커머스: 특히, 크로스보더(Cross-border) 전자상거래 확산씨앤에어(Sea&Air) 복합 운송의 확대가 인천국제공항 물동량을 역대 최고치로 이끌었습니다. 이는 항공운송이 단순 수출입을 넘어 글로벌 물류 시스템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았음을 의미합니다.

  • 제한적 성장 요인: 다만, 전통적인 수출 품목인 IT·반도체 등 순화물 물동량은 글로벌 경기 둔화의 영향으로 성장 폭이 제한적이었습니다.

3. 핵심 구조적 이슈와 대외 변수 ✈️

(1) 항공사 시장 재편 및 LCC의 지배력 강화

2025년 항공운송산업의 가장 큰 내부 이슈는 시장 구조조정입니다.

  • 대형 항공사 통합: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의 통합을 비롯하여 진에어 중심의 에어부산·에어서울 합병 등 시장 재편이 본격화되며 국내 항공 시장 내 경쟁 구도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 LCC의 시장 주도권: 저비용항공사(LCC)들은 신규 노선 개발 및 기재 도입 등 공격적인 시장 확대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기준, 국내 LCC 8개사의 국제선 여객 점유율은 34.4%를 기록하며, FSC 합산 점유율(34.2%)과 외항사 합산 점유율(31.4%)을 모두 앞지르는 압도적인 시장 경쟁 우위를 보여주었습니다 (출처: 한국항공협회).

(2) 주요 리스크 및 재무 변동성

  • 대외 환경 불확실성: 항공운송산업은 미국발 관세 전쟁, 국제 유가 및 환율 급등 등 대외 환경 변화에 취약하며, 이러한 변수가 여객 및 화물 사업 전망에 불확실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항공유 가격 안정화와 운임 추이: 2025년 3분기 기준, 국제 유가 및 환율 하락에 따라 국제선 유류할증료는 2022~2023년 고점 대비 크게 낮아진 8단계 수준까지 하락했습니다. 이는 비용 부담 완화에 긍정적이나, 성수기 장거리 노선 항공권이 일시적으로 300만~400만 원대까지 형성되는 등 여전히 가격 변동성이 높습니다.

  • 대형 항공사 실적의 명암 (대한항공): 여객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대한항공은 2025년 1분기 매출 3조 9,559억 원(전년 동기 대비 3% 증가)을 기록했지만, 비용 부담과 외부 환경 악화, 구조조정 영향 등으로 영업이익은 3,509억 원(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을 기록했습니다 (출처: 대한항공 2025년 1분기 실적 기준). 이는 매출 증대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관리가 핵심 과제임을 알 수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2025년 항공운송산업은 국제 여객 및 화물 시장의 빠른 정상화와 안정적 성장이라는 긍정적인 흐름 속에 있습니다.

그러나 대형 항공사 간 통합LCC의 시장 주도권 확대라는 근본적인 구조 변화에 직면해 있습니다. 또한, 유가, 환율, 글로벌 통상 환경 등 대외 변수에 따른 시장 변동성 확대는 지속적인 리스크가 발생될 수 있음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러한 구조 재편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규 노선 확대, 운임 경쟁, 복합운송 활성화 등의 기회를 면밀히 분석하고,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물류 등 새로운 성장 동력에 대한 투자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출처: 한국항공협회, 한국관광공사, 대한항공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자료 (보고서 내 인용)

▶ 이 글은 NICE BizLINE의 산업분석 보고서를 기반으로 합니다. 보고서 원본 및 다른 산업의 분석 보고서를 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버튼을 통해 NICEBizLINE 무료체험을 신청해보세요.

Share article

NICE평가정보 블로그 | NICE INFORMATION SERVICE